접속어미와 문말어미
5.2.2. 문말어미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의 문장 종류를 구분짓는 일을 담당 -공손의 등급에 따라 합쇼체, 해요체, 하오체, 하게체, 반말체, 해라체가 있다. -반말체와 해요체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의 어미가 구별되지 않고 하나로 통용됨 -원칙적으로 화자가 행위자에 포함되는 청유문에는 합쇼체나 해요체 사용이 제약을 받음 예) 선생님, 저희와 함께 여기를 막으십시다. ☞청유문 어미가 어색, 공손하지 못한 느낌 선생님, 저희와 함께 여기를 막으시지요. ☞위 문장 대신, 완곡한 명령문의 형식을 빌려 이렇게 표현 -신문이나 책 등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글에는 해라체 5.2.3. 접속어미 -둘 이상의 문장이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되는 경우 등위접속 -접속되는 문장들 사이에 인과..
더보기
한국어 반복복합어와 파생어
4.3.2. 반복복합어어기가 그대로 반복되어 이루어지기도 하고 어기의 일부만이 반복되어 만들어지기도 한다. 다른 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있다. 종류로 나누면 완전 반복, 변형 반복, 개입 반복, 세 가지로 나눠진다. -완전 반복 : 고루고루, 오래오래, 가지가지, 드문드문, 띄엄띄엄 … -변형 반복 : 실룩샐룩, 티격태격, 싱글생글, 찌그락째그락, 홀깃할깃 -개입 반복 : 개입되는 요소는 기존의 어미나 접미사로는 분류되기 어려운 ‘-디’와 ‘-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쓰디쓰다, 달디달다, 깊디깊다, 기나길다, 크나크다 … 4.3.3. 파생어한국어에서는 접두사보다 접미사가 잘 발달되어 있다. 따라서 접미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파생어가 훨씬 더 다양하다.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군소리, 군불, 군침맨손, 맨..
더보기
한글의 조어법과 복합어
4.3. 조어법단어를 조어법으로 분류하면 단일어(simple word)와 합성어(complex word)로 나눌 수 있다. 형태소 하나로 이뤄진 단어가 단일어이며,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는 합성어이다. 그리고 합성어는 다시 복합어와 파생어로 나뉜다. 4.3.1. 복합어명사끼리 모여 이루어진 복합명사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복합어의 대표적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복합명사 명사+명사손목, 고무신, 어깨동무, 산나물2. 명사+사이시옷+명사 콧날, 시냇물, 등불[등뿔]3. 관형사+명사새언니, 풋사랑, 옛날, 이것, 그분4. 용언의 관형사형+명사굳은살, 작은아버지, 큰댁, 어린이5. 용언의 어간+명사곶감, 접칼, 묵밭, 늦더위6. 부사(부사적 어근)+명사살짝곰보, 곱슬머..
더보기
형태변화를 하지 않으면서, 즉 격조사나 어미를 취하는
4.2.5. 관형사와 부사○형태변화를 하지 않으면서, 즉 격조사나 어미를 취하는 일 없이 뒤에 오는 명사나 명사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품사가 관형사이다. 항상 명사 앞에만 쓰이고 그 수도 많지 않다. ○부사는 형태변화를 하지 않으면서 뒤에 오는 용언 또는 문장 전체를 꾸민다.예) 한국에서는 소나무가 가장 잘 자란다. (용언 수식) 과연 우주는 얼마나 오래 존재했을까? (전체 문장 수식) 그 사람은 꽤 부자인데 아내가 아주 미인이야. (명사 수식) 이 드레스는 아주 새 옷이야. (관형사 ‘새’를 수식) ○접속부사 : 앞뒤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역할. ‘그리고, 그런데, 그러나, 그러면, 그러므로, 따라서, 또, 혹은, 오히려, 더구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그리고, 그런데, 그러나, 그러..
더보기
한국어 문법에서는 이런 경우 수사로 다루기보다
4.2.3. 수사○격조사가 붙어 문법적 기능이 표시된다는 점에서 통사적으로 명사, 대명사와 닮아 있다. 한국어의 수사는 고유어 계통과 한자어 계통의 수사가 함께 존재하며 이원적으로 쓰이고 있다. (가) 고유어 계통의 수사: 하나, 둘, 셋, 넷 … 열 아홉, 스물, 스물 하나 … 아흔 아홉(나) 한자어 계통의 수사: 일, 이, 삼, 사, 오 … 구십, 백,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억, 조 ○서수는 기본수사에 접미사 ‘째’를 붙여 만든다. 다만 ‘첫째’, ‘서른두째’ 등의 예시에서처럼, 하나와 둘의 경우는 서수로 쓰일 때 ‘첫’, ‘두’로 바뀐다. ○분류사 없이 셈을 할 때는 고유어 수사를 사용 예) 학생 다섯 ○, 학생 오 ×○서구어 분류사가 쓰일 때는 한자어 수사 사용 예) 밀가루 칠 킬로그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