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생각거리..

문법을 설명한다고 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그럼에도 교수가 되는 경우는 일 그 자체만으로도 

존경을 받기에 합당하다고 여기기 때문일 것이다.


대학에서는 한국어의 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 잡아 가고 있다고 

여길 수도 있다.그러나 현실은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실제로 한국어 교육을 전공을 한 교수는 거의 없는 편이다.


러시아인들의 한국어 구사 실력은 아직은 매우잘한다고 

할 수 없는 편이다.단지 러시아어로 한국어의 문법을 설명한다고 

할 수 있는 정도이다.


대학에서 4년,5년 정도 한국어를 배우고 현지에서 러시 아 

사람들에게 석사 학위를 했다고 해도 한국어 회화 실력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어느 학교나 학과 개설 초기에는 한국의 선교 단체나 

선교사의 역할이 컸 다.그리고 학과의 초기에는 

한국인 교수(선교사,러시아어 전공자)들이 교수 의 역할을 했다.


그리고 학교에 따라 약간의 상황이 다르지만,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학과 개설 초기에 

한국인 선교사나 유학생들이 교수의 자리를 대 신해서 가르치기도 했다.


그것은 대학들이 완전한 구성과 재정적 기반을 가지 고 

학과를 개설한 것이 아니고 선교사들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진 학과도 있었 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초기에는 전문적인 교원을 초빙하지 못하고 

현지에 있 는 선교사나 그 부인들,아니면 유학생들에게 

그 부족한 자리를 메우게 하였 다.


그들은 전문성이 부족하고,단지 한국어를 말할 수 있다는 

것으로 교원의 자리를 하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그것도 문제는 있다.

그들은 각자의 자리가 따로 있었기에 계속해 서 

한국어 교수로 일 할 수 없었다.


또한 전공자들이 아니기에 가르치는 것에 도 한계가 있었다.

선교사들은 그들의 사명이 있었고,

유학생들은 자신만의 목 표가 따로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강의를 열심히 준비해서 강의를 하려 노 력들을 하였다.

그들의 수고와 노력과 봉사로 인해 지금의 각 학교들에 

한국 어과가 남아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교수 요원들 중 러시아어 전공자들은 

유학의 의미와 경력을 쌓는다는 생각으로 교육을 하였다.


............................................................................................


귀한 석사 논문을 이렇게 읽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무엇보다 러시아와 고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의 현 상황도

많이 알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