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생각거리..

문제 중에 교원의 전문성 부족이란

그러나 한국의 경제위기에 의해 많은 수의 교수 요원들이 

짧은 기간만 봉사 하고 돌아가게 된다.또한 차츰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교사의 기회를 주려고 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도 졸업생 중에 가장 실력이 좋은 

학생이 교수가 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이 교수가 되었다.그것이 교육의질을 떨어뜨리는 


것이 되기도 했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교수의 월급 이 

너무 적었던 때였다.지금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많다고는

 하지만 교육자는 많지 않다.현재 우수리스크 사범대학의 

학생들에게서도 졸업 후 교 사가 되겠다는 학생은 30%가 

되지 않고 있다는데 염려가 되는 부분이다. 32)



각 대학의 한국어 교육학자들이 러시아 한국학자들이라

분류될 수 없는 한국 인이거나 러시아인들이라 할지라도

비전문가들로 채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는데 비하여 

한국어 전문가들이 양 산되지 않아서 교육의 질이 낮아질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다. 33)



교수가 가지고 있는 문제 중에 교원의 전문성 부족이란 

부분에서 한 가지를 더 짚어보려 한다.

임흥수1(1999)에서 대부분의 한국어 교수 교원들이 

한국어 구사력은 갖추고 있기 때문에 교수 


자신의 문제점에는 인식을 덜 할 가능성이 있지만,

학습자인 학생의 입장에서는 교원의 언어학적 미비와 

교수법 부족으 로 인해 문제점을 느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며,특히 발음 지도의 경 우는 교원에게 언어학적 지식이 없으면

 그리고 회화의 경우는 교원의 교수법 이 좋지 않으면 더욱더

 교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 학생들로 하여금 교재의 문제점을

 더 지각하도록 한다. 34) 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