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종(2009)은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자신이 재직하면서 경험한 교육과정,교수 양성,강의 운영 등을 소개하고,
한국어 교육의 열기가 높아진 것 에 비해 교수진과 교수 양성의 문제 등이 남아있다고 하였다.
김중섭(2010)은 중국 및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 지원방안과 지원요구 사항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한용(2010)은 러시아 연방의 언어 정책과 한국어 교육현황을 언급하면서
민족어가 지니는 위상과 한국어가 지니는 위상의 변화에 대해 밝혔다.
러시아 내에 여타 소수 민족들은 자신들의 집단 거주지가 있어서 민족어를 사용하는 반면에
고려인들은 집단 거주지가 없어서 민족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갖 지 못했다고 한다.
쁘리먀코바 따찌아나(2009)는 러시아에서의 외국어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교수법을 제시하고 있다.그리고 연해주에서의 고려인 사범학교 등,
연해주에서의 한국학과 한국어교육에 대해 알려주었다.
그리고 현재 러시아에 6개의 대학으로 구성된 한국학 협회가 있다고 한다.
그가 말하는 한국학에는 한국어교육은 빠져있다.그리고 대학마다 다른 교재가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졸업생들의 한국어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고 했다.
그것은 한국어보다는 영어구사 능력이 우선시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한국어학과 졸업생들은 한국어 실력을 요구하지 않는 직업을 택하게 된다고 했다.
또한 2000년대 들어와서 러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법이나 교육학에 대한 논문은 몇 편에 불과하고,
그것도 한국어 교수법과 관련된 것은 한편 밖에 없다고 했다.
그것은 언어학의 연구보다 교육학 역사가 짧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한국어 교수법을 가르치는 곳이 적다는 것,그리고 러시아에서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낮다는 점을 들었다.
'관심사/생각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학교도 생기고 고려인 사범학교도 (0) | 2016.02.26 |
---|---|
교재 개발 방향,교육 프로그 램 (0) | 2016.02.13 |
벼랑끝전술 지연전 (0) | 2015.12.14 |
CVID(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Dismantlement) (0) | 2015.12.06 |
1970년대까지 남․북한 군비경쟁에서 (0) | 2015.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