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지식

현실적인 발전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하고자

이 들은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는 한국어를 사용해 본 적이 거의 없다.

이들에게 는 한국어가 단지 외국어일 뿐이다.

이들에게 개인의 목표에 따라 지도하는 방식이 필요할 지도 모르나,

한국어를 처음부터 배우는 학생들일 경우 졸업 후의 목표에 큰 차이는 없다.

 

간혹,집에서 한국어를 사용해온 학생들은 한국 어 문법과 한국어 발음을 잘못 사용하여 어려움을 겪는다.

또 교회나 다른 한 국어 강좌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입학하는 학생들은 기초 부분에 차이가 나서

대학에서의 기초 교육에 흥미를 잃는 학생들도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들이 산재한 극동러시아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실태를 진단하고,

현지에 맞는 구체 적이고 현실적인 발전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개방 초기에는 각 대학이나 일반 학교에도 한국에서 교수 파견,교재 제공 등의 지원이 있었으나,

한국의 경제 위기 이후 지원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시 간이 지나감에 따라 꾸준한 지원과 학습 효과에 대한 질적·양적 향상이 이루 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반대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연해주의 한국어 교육기관을 파악해보고,그 기관의 당면한 문제가 무엇 인지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까지 러시아에서의 한국어교육은 크게 한국학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한국어를 독립적으로 논의해 보려고 한다.


그에 대한 구체적 표본으로 우수리스크 사범대학의 한국어 교육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앞으로의 방 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