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지식

실태를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연구 하는데

1.연구 목적
이 논문은 극동 러시아 연해주의 우수리스크 시에 소재하고 있는 우수리스크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연구 하는데 목적을 둔다.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97년에 모스크바와 상트 페테르부르그 국립대학에서 조선어교육이 시작되었고,

블라디보스 톡 동양학대학에서도 1899년부터 조선어 강좌가 개설되었다.

그 후 많은 진전을 보이다가 1937,8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면서 조선어 교육이 중단 되었고,

약 50여 년간 조선어 교육은 사라지게 되었다.그 후 조선어 교육은 중단되었지만 조선어의 연구는 계속되었다.


1990년대 러시아에 페레스트로이카가 나타나며 연해주 지역에 한국과의 새로운 관계가 시작된다.

많은 수의 선교사와 기업이 연해주에 들어가게 된다.


1988년 올림픽이 열리고 한국에 대한 문호가 개방되면서 러시아 내의 고려인 들에게는

한국을 새롭게 받아들여야 할 나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 한국에서 파견된 무역회사나 교회에서는 러시아어에 능통한 사람이 없었기에 러시아어-한국어 통역사들이 필요했다.

그러나 통역을 할 수 있는 자원이 부 족하여 그 수요를 다 감당하지 못했다.

그래서 타 회사나 타 교회의 통역사를 데려오기 위한 월급 경쟁 현상으로 통역 시장이 과열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과 함께 한국이 주변 국가 중 중요한 나라로 새로이 인식되기 시작했고,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시작되었다.

 

 

 

............................................................................................................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역사가 꽤 깊네요...

1900년 이전에 벌써 한국어 교육이 시작되었다니..

하지만 한국인 강제이주로 인해 그 역사가 단절되고

또 국교수립이 정상화된 이후 다시 한국어교육이 새로 시작되었다고 봐야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