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지식

한문과 한자

2.6.2. 한문과 한자

한글이 창제되고 나서도 한문은 많은 저술에 문자로 사용되었다

서당 및 서원 등이 20세기까지 존속했는데 이곳들도 

모두 한문과 한자를 가르치는 곳이었다

그러다가 1894년 갑오경장을 맞으면서 고종 황제의 명으로 

모든 공문을 국문인 한국어 문장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순수하게 한글을 사용한 독립신문이 18864월 창간됨- 민간 차원의 한글 사용 확대 노력)



옛날에 비해 한자의 영향력에서 많이 벗어난 것은 사실이나 

저술과 언론, 전문 분야에서 한자 사용이 크게 줄어들 것 같지는 않다

한자는 표의문자로서 한자어 한 글자가 가진 뜻이 분명하고

그에 따라 중요한 개념을 빨리 훑고 지나가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폐쇄음과 파찰음에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이 없는 대신

(무성음-유성음이 음소가 아닌 단순한 異音에 불과함


평음-경음-격음의 대립이 있다(평음-경음-격음이 음소로 작용).

) 고기[kogi]-첫 번째 은 무성음


두 번째 은 유성음(모음 사이에서 폐쇄음이 유성음으로 실현됨)

) 다리[tari]에서 은 유성음(탄설음), [tal]에서 은 무성음(설측음)

 

○ ㅚ, - 표준발음법에서 단모음으로 규정하면서도 발음 시에는 이중모음 발음도 허용


○ ㅢ – 1음절에 나오며 그 앞에 자음이 없을 때에만 제소리로 발음됨

나머지 경우에는 ’(희다, 환희, 무늬 등) 혹은 ’(서울의, 너의 등로 발음됨.


음장(발음의 길고 짧음)도 운소(음소를 구분하는 역할을 함)의 하나였으나

지금은 음장에 의한 변별은 크지 않다. 보통 첫 음절에서만 음장이 음소 변별력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