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지식

자음은 어떤 경우에도 성절음(syllabic)이 되지 못한다.

3.2. 음절 구조

음절 초두에 자음군(복합자음)이 오지 못한다. 음절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 , , 핥는다 할는다 할른다(유음화)


자음은 어떤 경우에도 성절음(syllabic)이 되지 못한다.

 

3.3. 음운 규칙


3.3.1. 중화

한국어의 자음은 어떤 자음이나 할 것 없이 음절말 위치에서 

불파음(터지지 않는 소리)으로 실현된다

즉 자음을 발성한 후 입술을 다물고 있거나 

구강 내 기류의 막힘이 유지되어야 한다

음절말의 불파화에 의해 음절말에서 실현 가능한 

자음의 수는 일곱 개다.(칠종성법)


[], [],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애초에 서로 다른 음소로 대립되던 것들이 

발음만 가지고서는 분간되지 않는다

이것을 중화(neutralization)라 한다

그러나 단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오면 

중화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값이[갑시], 갚아라[가파라]와 같이 다른 음절로 실현됨)

 


3.3.2. 동화

서로 이웃해 있는 두 음 중 하나가 다른 나머지의 영향을 받아 

그와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바뀌는 것을 동화(assimilation)라고 한다

그 중 비음화, 구개음화가 대표적이다.

 

비음화는 , , 등의 폐쇄음이 

같은 조음 위치에 있는 비음 o, , 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ㄱ→ㅇ (같은 연구개음이며 비음인 으로 바뀜) 국물[궁물], 먹는다[멍는다]

ㄷ→ㄴ (같은 치조음이며 비음인 으로 바뀜) 받는다[반는다], 붙는다[붇는다분는다]

ㅂ→ㅁ (같은 양순음이며 비음인 으로 바뀜) 앞마당[암마당], 없는[업는엄는]

 

구개음화는 흔히 명사나 용언 어간의 말음 , 이 

모음 를 만나서 , 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 밭이[바치], 굳이[구지], 같이[가치], 닫히다[다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