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빈도 어휘의 빈도순위 급간을 빈도 어휘의 빈도순위 급간보다 좁게
잡았는데 이것은 서상규(2002)에서 “전체 텍스트의 80%를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단어의 수는 전체 어휘 목록의 약 0.36%에 불과한 1,620개이며”, “특
히 연세말뭉치의 총 어휘 수 443,028 에서 무려 98.7%에 해당하는 단어가
마지막 사용률 구간인 91-100% 사용률 구간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인 연구
에 근거하였다.
3.2 음수(단어의 길이)
MeGinnies-Comer-Lacy(1952)는 단어의 길이가 짧을수록 문장에 대한 이
해가 빨리 될 수 있다고 하다.5) 한국인들도 어를 처음 배울 때 철자가
많고 긴 단어는 외우기가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마찬가지로 한국어를 배우
는 외국인들도 그럴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음절수도 가독성에 영향을 주
는 요인으로 고려했다. 단어의 난이도 측정 점수에 음절수를 단순 합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3.3 동음이의어
이충우(1992)는 한국어 어휘의 특징으로 동음이의어가 많다는 것을 지적
하며 이는 어휘 교육상 고려할 특질이라고 했다. 동음이의어는 모국어 화자
들에게도 의사소통에 혼란을 주는 요인이다. 다의어 떠한 외국인 학습자에
게 어려운 요인일 거라 생각된다. 동음이의어는 사전에 다른 표제어로 실려
있으나 다의어는 같은 단어로 취급되므로 더더욱 의미 구별이 어려울 거라
판단된다. 이에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도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선
정했다. “국어사전”에는 일반적인 수준의 한국어 모국어 화자도 잘 쓰지 않
고 잘 알지 못하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가 실려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국립
국어원의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에 실린 어휘 중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수를 난이도의 수치로 합산
한다. 이때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는 구별하지 않고 수치화한다. 단, 방언(비
속어 포함)으로 분류된 동음이의어는 물론, 이철자 동음이의어도 제외하였
다.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용형으로 변형되어 쓰이고 있으므로 (0) | 2017.08.20 |
---|---|
한국어의 복합어와 추상어 (0) | 2017.08.14 |
단어의 빈도는 어휘교육을 할 때 중요한 요소 (0) | 2017.08.05 |
대상이 되는 어휘는 교재에 제시된 단어 색인 (0) | 2017.07.28 |
지금부터 10여년 뒤인 2020년 무렵에는 (0) | 201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