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듀이는 인간의 경험은 항상 가치의 문제를 겪는다고 하는데,
일상의 삶 속에서 정직과 거짓말과 관련한 가치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악인이 나타나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런 상황 속에서
정직과 거짓말에 관련한 가치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정직과 거짓말은 무수히 많은 개별적인 삶 속에서 서로 다른 차이 성과 양상을 갖는데
여기에서 핵심적인 것이 바로 속임(deception)의 문제이며
속임의 양상에 따라 가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속임에 의한 거짓말에 의한 문제를 실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정직과 거짓말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흔하게 겪고 있는 속임과 관련하여 정직과 거짓말에 담겨 있는 가치의 문제에 대해
학자들의 정직과 거짓말에 관한 논의를 찾고자 하였으나 발견 되지 않았고
칸트의 윤리학에서 연구를 위한 주요 텍스트를 발견하게 되었다.
칸트는 18세기의 계몽시대의 인물로서
21세기에서 살고 있는 우리와 시대 차이를 감안할 필요성이 있으면서도,
그가 논의한 내용 중에는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 하게 적용되는 것이 있다.
즉 정직과 거짓말에 관한 연구 방식의 방향에는
현대의 심리학 계열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방식과,
윤리학 계열의 텍스트를 중심 으로 논의하는 방식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식 중에서
현대의 심리학 계열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의하려 하였지만,
가치론을 좀 더 부각시키기 위하여 윤리학 계열의 텍스트 중에서
칸트의 저작과 그 외 학자들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의하게 되었다.
정직과 거짓말은 인간의 존엄성의 문제로 나타나며
속임(deception, cheating)에 의해 타인을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그 결과를 떠나서 인간다움의 존엄성 자체를 해치는데,
이러한 함의가 바로 칸트가 논하는 가치론에 해당한다.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jects의 서로 다른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0) | 2017.03.18 |
---|---|
인간의 수단화, 도구화, 노예화 문제 (0) | 2017.02.14 |
정직과 거짓말과 관련하여 칸트의 (0) | 2017.02.01 |
내의 형식에는 완전히 일치된다 하더라도, (0) | 2017.01.17 |
신체적 문제 외에 이론적․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