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 방 무역 규모가 큰 국가일수록 은행 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았다(Buch and Lipponer 2004a, 2004b). 이는 ‘기업 이 가는 곳에 은행이 따라가는’ 패턴을 시사 한다.
5.3. ‘관계금융’과 금융 국제화의 거시 경제 성과
금융 국제화가 국가 간 자원의 효율적 배분 을 촉진할 것인가 아니면 자본이 계속 유입되 었다가 자산버블을 일으킨 다음 일시에 유출되 는 소위 ‘자본유입문제’를 초래할 것인가? ‘관계 금융’이 발달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가 통 화 및 금융 통합을 실시하는 경우를 상정해보 면 다음과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참고> “금융 국제화의 거시경제 효과 요약표” 참조).
먼저 ‘관계금융’이 발달된 국가에서는 KfW 와 같은 국책은행의 국제화로 인해 중소기업지 원을 위한 기금
조성이 활성화되고 커뮤니티은 행을 통한 ‘관계금융’의 공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산·학·연으로 구성된 지역혁신시스템 이 활성화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혁신을 위 한 협력이 촉진된다. 혁신을 토대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이 활성화된다. 시 장이 확대됨에 따라 지역산업생태계 내 분업이 심화된다. 수출 증가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를 금융 및 기업 부문이 흡수하여 해외투자로 운 용한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안정되고 실 질환율 절상이 방지된다.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가 지속되었지만 대부 분의 유럽 (0) | 2015.09.21 |
---|---|
증발 요인을 흡수한 데 기인한 것 (0) | 2015.09.19 |
유동성 확보 위해 산 업대출을 (0) | 2015.09.14 |
개입한 것 외 에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0) | 2015.09.12 |
은행이 각각 47.3%와 68.4%를 기록 (0) | 201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