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공영 저축은행의 민영화 및 전국은행화로 ‘관계금융’이 약화된 스페인에서는 2000년 말부터 2008.10월 말까지 독일 은행에 의한 대출이 4.8
배 증가하였다(Deutsche Bundesbank 2014).이와 더불어 2000∼2007년 중 스페인의 주택 가 격이 117%나 상승하였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독일은행의 대출회수와 더불어 주택 가격이 급락 하여 2000∼2013년을 통틀어 61% 상승하는 데 그쳤다(BIS 2014). 이는 독일의 국제화된 대형 은 행들의 유로지역 국가에 대한 대규모 대출은 그 나 라에서 부동산 버블을 형성하는 데 일조하였을 가 능성을 시사한다.
(내부실질환율 및 대외불균형)
2002년 이후 유로화 강세가 지속되었지만 대부 분의 유럽 국가들에서와 달리 독일에서는 내부실 질환율 32) 이 상대적으로 안정되었다(<그림 13>).
독일과 스페인의 경상수지가 반대 부호를 유 지하였다(<그림 14>). 다만, 스페인에서는 글로 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내부 실질환율이 절하되면서 경상수지가 점차 개선 되었다. 2013년에는 소폭(GDP의 0.8%)의 흑 자를 기록하였다(World Bank 2014).
독일 스페인 자료: IFS, IMF
독일의 경상수지 흑자는 기업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수출 확대, 노동시장 개혁에 따른 가계소득 불확실성 증폭과 이에 따른 가계저축 률 상승 33) 그리고 인구고령화에 따른 내수 위 축 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 인정신과 양식과 기술을 가진 도 제 (0) | 2015.09.29 |
---|---|
당부분은 유럽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0) | 2015.09.24 |
증발 요인을 흡수한 데 기인한 것 (0) | 2015.09.19 |
국제화로 인해 중소기업지 원을 위한 기금 (0) | 2015.09.16 |
유동성 확보 위해 산 업대출을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