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생각거리..

러시아 안에서는 러 시아말을 사용하려고 했고

언어의 위상은 민족의 위상과 가치를 나타내는 

특히 다민족 국가인 러시아 에서의 언어의 위상은 

단일 언어 국가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동시에 절대 다수의 민족들에게 있어서는 모국어에 대한 이해나 

현실은 약간의 변화는 있 지만,매우 안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의 재편은 러시아 연방내의 민족들 간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켰으며,그 문제들 중에는 역시 언 어문제가 포함되어 있다. 


1880년대 제정 러시아와 조선과는 여러 면에서 좋 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1860년대 먼저 수교를 하자고 한 나라도 러시아였 고,

러시아에 이주한 조선 사람들을 받아들여 준 것도 러시아였다.


그러나 소 비에트 정권이 되는 볼쉐비키 혁명 이후 

1937년 강제 이주사건, 1950년 한반 도의 6·25 전쟁을 치르고 

분단의 아픔을 겪으면서 단절된 상태로 지나다가 

1990년대 러시아의 체제 붕괴 이후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그 전 소비에트 시 대에는 러시아어만 사용하게 하였다.

여타 소수 민족들도 러시아 안에서는 러 시아말을 사용하려고 했고,

그것은 고려인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소련 붕 괴이후 소수 민족들은 자신들의 민족어를 사용하게 되고

 또 자신들끼리는 자 신들의 민족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인들은 한국말로 대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제껏 러시아에서,러시아인으로 인정받으며 살다가 

어느 날 민족어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미 민족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렸다.


단절된 시간 동안 조선어는 오직 구어로만 전해져 내 려왔고,

학습으로는 익히지 못하였기에 

고려인들의 젊은이들에게는 고려말,한 국말이 낯선 언어가 된 것이다.





....................................................................................................................................................


격동의 한국 현대사와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러시아 국내 환경의 큰 변화...

로 인해서 모국어인 한국어를 서서히 잊어갈 수 밖에

없었던 고려인들...

문어로서가 아닌 구어로서만 구전되어 온 한국어였기에

지금 새로 배우려 하니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서 새로 배워야 하는 환경에 놓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