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체류 전문 외국인력의 거주 만족도는 높은 편 셋째, 전문 인력의 국내 수요를 파악하는 체계가 없고 유입 규모도 여전히 매우 작다. 비전문 인력은 업종별 부족 인력 등을 고려하여 도입 규모가 결정되나 전문 인력은 수요파악, 필요직종 등을 추정할 수 있는 객관적 체계가 미흡하다. 더욱이 한국은 외국 전문 인력에게 매력적인 취업 국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어 유치 정책의 실효성도 높지 못하다. 넷째, 전문 인력에는 다수의 직종이 포함되어 있어 국내 노동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등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 인력 7개 분야 중 특정활동(E-7) 비자로 체류 중인 외국인 비중이 지난 10 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그런데 특정활동에 해당되는 직종은 고숙련 전문직과 노동시장테스트가 요구될 수 있는 직종들이 혼재되어 있다는 지적 받고 있다. 이민‧정주적관점의.. 더보기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5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