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조사
-격을 표시하는 격조사와는 달리 어떤 의미를 더해주는 조사
예) 나는 지금 울고만 싶다. (‘오직’의 의미)
민호도 사과를 좋아 한다. (‘역시’)
사람이 많이도 모였구나. (강조)
※ 특수조사 ‘은/는’
-주격조사 ‘가’와 특수조사 ‘는’의 기능을 구별해 나타내기가 힘듦.
-대체로 ‘는’은 ‘대조(contrast)’의 의미를 지님.
예) 민호가 사과는 좋아한다. (다른 것은 싫어해도 사과는 좋아함)
한국에서는 쌀이 주식이다. (다른 국가에서는 그렇지 않지만)
☞ 격조사와 함께 쓰여서 대조의 의미가 더 분명해짐
-‘는’이 문장의 첫머리에서 한정적(definite)이거나 총칭적(generic)인 명사에 연결될 때는
그것이 주격 자리이든 어떤 자리이든 화제(topic)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함
예) 민호는 사과를 좋아한다. (대화의 주제가 민호임)
워싱턴은 미국의 수도다. (워싱턴이 대화의 주제임)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다. (무엇을 규정하거나 정의할 때)
-막 새로 시작된 이야기에 대해서는 ‘는’을 쓸 수 없음.
-‘누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도 ‘는’을 쓸 수 없음. 어색함.
예) A: 누가 경기에서 이겼니?
B: 민호가 이겼어요. (민호는 ×)
☞ 누가 이겼는지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문장이므로 ‘는’을 쓰면 어색함.
-주격조사 ‘가’는 새로운 정보를 전달, ‘는’은 옛 정보를 전달.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격조사 이중주어문.. (0) | 2017.10.04 |
---|---|
조사는 주로 명사에 첨가되어 그 명사의 격을 표시 (0) | 2017.10.03 |
고유어에 비해 한자어가 단어 형성에 있어 제약을 덜 받는다 (0) | 2017.10.01 |
한국어 음운에는 없는 영어의 순치음 (0) | 2017.09.29 |
오늘날 고유어보다 한자어가 어휘에서 더 큰 비중을 (0) | 2017.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