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조사
조사는 주로 명사에 첨가되어 그 명사의 격(case, 格)을 표시해 주는 일을 주로 하는 품사. 격 표시를 주로 담당하는 조사는 격조사, 격 표시와 무관한 특수조사도 있다.
가. 한국어 조사의 특징
①생략될 때도 있음. 한국어의 격은 조사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어순 만으로 격이 표시될 수도 있다.
②격조사가 실현되지 않는 경우는 주로 문장의 길이가 짧은 구어 표현에서이다.
③한 문장에 주격, 속격, 대격이 함께 나타날 때 모두 생략되기 보다는 하나가 실현됨. 이 때에 주격 조사가 실현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예) 수미의 동생이 책을 읽는다. (본래 문장)
수미 동생 책을 읽는다. (×)
☞수미가 동생의 책을 읽는다는 건지, 수미의 동생이 책을 읽는다는 건지 확실하지 않음
수미 동생이 책 읽는다. (가능)
④격조사가 쓰인 해당 명사구에 의미상의 초점이 놓인다.
예) 나 서울 가요. (중립적)
나 서울에 가요. (다른 곳이 아니라 서울)
내가 서울 가요.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내가)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격조사와 속격조사 (0) | 2017.10.05 |
---|---|
주격조사 이중주어문.. (0) | 2017.10.04 |
특수조사 은, 는 (한국어 지식).. (0) | 2017.10.02 |
고유어에 비해 한자어가 단어 형성에 있어 제약을 덜 받는다 (0) | 2017.10.01 |
한국어 음운에는 없는 영어의 순치음 (0) | 2017.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