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지식

재교육 등타지에 서 교육을

그 후 우수리스크 사범대학을 졸업한 졸업생들 5명이 현재 교수로 근무하고 있지만

아직 학자나 교수로서의 충분한 자격을 갖추기에는 아직 미흡하다.

아 직 박사과정이 생기지 않은 것도 문제이지만 그 과정을 한국에서 이수한 사 람도 없고

 러시아 내에서 박사과정이 있다고 해도 그 과정에 들어가지도 못하 고 있다.

 

석사과정은 있지만 이것도 러시아 대학의 학제가 다른 나라와는 달 라서

그 과정을 이수하는 것도 어렵지만 현재 교수의 대부분이 여성이라서

가정의 문제와 맞물려 본인들의 실력 향상에 노력을 쏟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

.
대학원이나 재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블라디보스톡의 대학원이나

모스크바의 대학원,한국에서의 재교육 등,타지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러시아 의 특성상 여성들이 교사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 여성들의 대부분이 일찍 결혼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찍 자녀를 낳기 때문에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자녀 양육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된다.그러면서 자연히 계속 교육이 나

재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 현재 우수리스크 대학에서의 한 국어과 교수는 5명인데

전원이 여성이고 3명이 러시아인 2명이 고려인이다.


3.교육 현황
1)교육환경
러시아의 한국어 강좌 개설 교육 기관의 확산과 비례하여

과연 한국어 교육 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

이 문제에 대한 최근의 견해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열악한 한국어

교육 여건을 들어 효과적이 지 못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국어 교육의 내적인 측면으로는 전문적 인 지식과 자격을 갖춘 한국어 연구자와

교원의 절대적인 부족,그리고 러시 아 사용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졸업 후 전공 활동 등 을 비롯한 한국어교육의 외적인 측면에서도

여건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page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