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적응에 있어서 더 큰 어려움
- 한국성장 다문화 청소년과 외국에서 주로 성장한 중도입국 청소년사 이의 노동시장 통합정도는 매우 큰 격차를 나타냈음 - 한국에서 성장한 다문화 청소년은 11.2%만이 NEET ) 상태에 있는 반면 중도입국 청소년은 37.7%가 NEET 상태이고,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은 한국말 의사소통, 저임금, 장기간 근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김환학 외(IOM이민정책연구원, 2012)는 주요국가의 이민정책 추진체계 및이민법에 대한 연구에서 주요국의 외국인 체류와 사회통합의 현실을 소개 ○ 유럽연합 회원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 전통적 이민국가인 미국, 캐나다, 호주, 그리고 한국과 경제사회적 배경이 비슷한 일본의 이민정책과 법제도 등을 소개 ○ 또한 나라별 외국인 체류와 사회통합의 현실을 소개하고 이에 대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