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2. 대격조사
-타동사문의 목적어를 표시하는 조사. ‘을/를’
-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모음 뒤에서는 ‘를’, 자음 뒤에서는 ‘을’
-목적어를 취할 수 없는 자동문에 ‘를’ 명사구가 나타날 경우, 이 때의 ‘를’은 처격(장소)
예) 수미가 {학교, 시장, 외국}를/을 자주 간다.
☞ 가다, 기어가다, 다니다, 걷다, 돌아다니다 등의 이동 동사가 쓰일 때
5.1.1.3. 속격조사
-속격(genitive, 屬格)은 조사 ‘의’가 표시 기능을 담당.
-조사 ‘의’에 의해 묶이는 두 명사구의 의미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예) 이것은 나의 책이다. (소유)
제주도의 조랑말이 천연기념물로 채택되었다. (생산지)
이제 남북한의 통일도 얼마 남지 않았다. (주체)
한 잔의 차가 생활에 여유를 준다. (수량사구와 명사를 연결)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 접속 명사구를 주어로 요구하는 동사 (0) | 2017.10.07 |
---|---|
처격은 처소, 시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 지향점 (0) | 2017.10.06 |
주격조사 이중주어문.. (0) | 2017.10.04 |
조사는 주로 명사에 첨가되어 그 명사의 격을 표시 (0) | 2017.10.03 |
특수조사 은, 는 (한국어 지식).. (0) | 201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