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양극화의 심화문제는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예상되는
혁신적인 만물지능통신의 ICT기반으로 한 스마트사회의 핵심이슈가 되는데,
이는 미래의 신기술 등장과 서비스의 다양화 및 차별화로 인한
정보 접근성과 활용능력에 있어서,
개인 간 혹은 대상 간의 차이에서 오는 정보와 지식격차의 심화가능성을
더욱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2020년에는 한국사회는 이러한 ICT스마트사회로의 진화 외에도
본격적으로 다민족국가로도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불법체류자를 포함해서
현재 100만 명을 돌파했고, 2020 년에는 전체 인구 대비 외국인
체류비율이 5%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다문화가족은 2020년에는 2011년 기준의 55만 명에서
거의 두 배인 약 98.6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보이는데,
총인구 대비 비중은 2011년 기준 1.1%에서
2020년에는 1.9%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지금부터 10여년 뒤인 2020년 무렵에는
한국사회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ICT스마트사회와 관련한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양극화의 심화문제 및 새로운 정보서비스 활용문제와 함께,
다른 하나는 그 동안 한민족이라는 단일민족의 위상을
지켰던 한반도 에서 다문화사회 즉 다민족국가로의 진입을 하게 되는
두 가지 거대한 물결에 직면하게 된다((이 상윤・정명주, 2013:606-607),
그런 점에서, 2020년을 앞두고 미리
이 시점에 대한민자 혹은 다문화가족 이주자 등의 정보격차를 최소화하여
이들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 혹은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사회통합을 위한 대비책을 준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할 수 있다.
또한 미래 스마트사회의 ICT를 통한 새로운 사회통합 모델로서
도래하는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미래 전자정부를 위한 전략마련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정책적 과제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의 빈도는 어휘교육을 할 때 중요한 요소 (0) | 2017.08.05 |
---|---|
대상이 되는 어휘는 교재에 제시된 단어 색인 (0) | 2017.07.28 |
2020년 무렵 한국사회 (0) | 2017.07.06 |
독일의 실업율이 사상 최저인 이유 (0) | 2017.06.23 |
독일 정부가 난민에게 지원하는 재정지출 금액 (0) | 2017.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