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사회 적응에 있어서 더 큰 어려움

하늘별님 2017. 12. 17. 23:19

- 한국성장 다문화 청소년과 외국에서 주로 성장한 중도입국 청소년사 이의 노동시장 통합정도는 매우 큰 격차를 나타냈음 - 한국에서 성장한 다문화 청소년은 11.2%만이 NEET ) 상태에 있는 반면 중도입국 청소년은 37.7%가 NEET 상태이고,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은 한국말 의사소통, 저임금, 장기간 근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김환학 외(IOM이민정책연구원, 2012)는 주요국가의 이민정책 추진체계 및이민법에 대한 연구에서 주요국의 외국인 체류와 사회통합의 현실을 소개


○ 유럽연합 회원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 전통적 이민국가인 미국, 캐나다, 호주, 그리고 한국과 경제사회적 배경이 비슷한 일본의 이민정책과 법제도 등을 소개


○ 또한 나라별 외국인 체류와 사회통합의 현실을 소개하고 이에 대응한 정책과 정책 수립 시스템 및 법제도에 대해 살펴봄





*참고 :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nor in Training)

교육을 받고 있지도, 고용되어 있지도, 그렇다고 직업훈련을 받는 중도 아닌, 

즉, 아무 경제활동 또는 예비 경제활동도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한국에서  태어난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들보다 한국에 중도입국한 청소년들이

한국사회 적응에 있어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구나..라는 걸 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