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지식
특수조사 ‘만’, ‘나’, 그리고 ‘나마’
하늘별님
2017. 10. 8. 09:08
※특수조사 ‘야/이야’
-음운론적 조건의 의해 자음 뒤에서 ‘이야’로 실현됨
-대조의 ‘는’과 같은 기능, 그러나 ‘는’에 비해 한정된 분포를 보임
예) 민호야 서울에 가겠지만.
-‘당연히, 물론’의 의미를 포함
예) 돈이야 김 씨가 더 많지만, 자식은 이 씨가 더 잘 두었지.
※특수조사 ‘만’, ‘나’, 그리고 ‘나마’
-‘만’과 ‘나’는 유일한 선택임을 뜻함. 그러나 ‘만’은 그것을 선택하고 다른 것은 배제하는 적극적 선택인 반면,
‘나’는 최선의 것이 배제된 후 남은 것을 선택하는 소극적 선택을 뜻한다.
예) 바지만 살 거야. (다른 것은 배제, 적극적 선택)
양복 살 돈이 모자라니 바지나 사야지. (소극적 선택, 선택 결과에 부정적)
바지나마 사서 다행이야. (소극적 선택, 차선책 선택, 다행스럽게 생각함)
-‘나’가 부사나 수량사구에 연결될 때는 강조의 의미
예) 사과 한 개에 천원이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