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생각거리..

한국어 문법에서는 이런 경우 수사로 다루기보다

하늘별님 2017. 9. 21. 11:15

4.2.3. 수사

격조사가 붙어 문법적 기능이 표시된다는 점에서 통사적으로 명사, 대명사와 닮아 있다.

한국어의 수사는 고유어 계통과 한자어 계통의 수사가 함께 존재하며 이원적으로 쓰이고 있다.

() 고유어 계통의 수사: 하나, , , 열 아홉, 스물, 스물 하나 아흔 아홉

() 한자어 계통의 수사: , , , , 구십, , , , 십만, 백만, 천만, ,

 

서수는 기본수사에 접미사 를 붙여 만든다. 다만 첫째’, ‘서른두째등의 예시에서처럼, 하나와 둘의 경우는 서수로 쓰일 때 ’, ‘로 바뀐다.

분류사 없이 셈을 할 때는 고유어 수사를 사용

) 학생 다섯 , 학생 오 ×

서구어 분류사가 쓰일 때는 한자어 수사 사용

) 밀가루 칠 킬로그램 , 밀가루 일곱 킬로그램 ×

고유어 수사는 고유어 분류사와, 그리고 한자어 수사는 한자어 분류사와 잘 호응됨.

) 쉰 다섯 살(고유어로 된 수사와 분류사), 오십오 세()(한자어 수사와 분류사)

한국어의 수량사구는 분류사의 유무와 구성요소의 결합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이 있다.


. 명사-수사

학생 이 찾아왔다.

. 명사-수사-분류사

학생 명이 찾아왔다.

. 수사-명사

* 학생이 찾아왔다.

. 수사-분류사-‘’-명사

* 명의 학생이 찾아왔다.


*한국어 문법에서는 이런 경우 수사로 다루기보다 수 관형사로 다룬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유어 수사 하나, , , 이 분류사 앞에서는 , , (, ), (, )’으로 바뀐다.

수사가 들어가 있는 문장의 명사의 경우, 복수형이라고 해서 형태의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불특정 복수를 가리킬 때는 명사에 이 붙어 복수를 나타낸다.

) 너희 세 명 모두 교무실로 와.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었다